
부여 정림사지 오 층 석탑(Five-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 Temple Site, Buyeo) 역사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여 정림사지에 있는 후기 사비 백제의 석탑(石塔)으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 함께 현전 하는 유이(唯二)한 백제시대의 석탑입니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오 층 석탑의 설립 배경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언제 석탑이 세워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가 사비로 천도한 시기인 6세기 중엽에 석탑이 설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부여 정림사지 오 층 석탑의 1층 탑신 4면에는 당나라의 장군 소정방(蘇定方)이 백제를 평정한 후에 새긴 기공문(紀功文:공훈을 오랫동안 기념하기 위해 새긴 글)이 있어 한동안 '평제탑(平濟塔)' 혹은 '소정방탑(蘇定方塔)'..

영주 소수서원(Sosuseowon Confucian Academy, Yeongju)의 역사 영주 소수서원(榮州 紹修書院)은 1543년 중종 38년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입니다. 소수서원은 1541년(중종 36) 7월에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周世鵬)이 1542년(중종 37) 8월에 이곳 출신의 성리학인 안향(安珦)을 배향(配享)하는 사당을 설립하기 위해 공사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듬해인 1543년 8월 11일에 완공하여 안향의 영정을 봉안하고, 사당 동쪽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같은 해에 설립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주세붕이 서원 이름을 '백운동'으로 한 것은 소수서원의 자리가 중국 송(宋) 나라 때 주희(朱熹, 1130~1200)가 재흥시킨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이 있던 "여산(廬山)에 ..

안동 병산서원(Byeongsanswowon Confucian Academy)의 역사 안동 병산서원(安東 屛山書院)은 서애 류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만든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건립한 서원입니다. 1978년 3월 31일 사적 제260호에 지정되고, 2010년 7월 31일과 2019년 7월 10일 각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고종 5년(1868년)에 벌어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이 내렸을 때에도 가치 있는 47개 서원으로 지정되어 훼철(毁撤)되지 않고 보호되었습니다. 안동 병산서원은 대한민국 서원 중에서 유일하게 교육기관으로서의 명맥을 이어나가는 곳입니다. 후학들이 돈을 모아 비교적 교통이 편한 안동시 풍산읍에 풍산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공식적인 후신으로 삼고 있기 때문입니..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 역사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 대웅전 앞뜰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 석탑(石塔)으로 경주 불국사가 창건된 9세기 중엽 무렵에 설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탑의 원래 명칭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設法塔)'이며, 흔히 줄여서 '석가탑(Seokgatap Pagoda)'이라고도 부릅니다.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옆에는 경주 불국사 다보탑(Dabotap Pagoda)이 나란히 세워져 있는데, 이는 법화경(法華經)의 내용을 따른 것으로 '현재의 부처'인 석가여래(釋迦如來)와 '과거의 부처'인 다보볼( 多寶佛)이 나란히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 심오한 문화 및 종교활동 시기에 문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