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주 탑평리 칠 층 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역사 통일신라 시대의 석탑으로 원성왕 12년에 남한강 상류의 강가 높은 토단 위에 건립되었습니다. 건립된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은 1962년 국보 제6호로 지정됐습니다. 일명 '중앙탑'이라 부르며, 이 이름으로 인하여 2014년 1월 1일부터 본래의 가금면이 중앙탑면으로 개칭되는 계기를 맞이했습니다. 화강암 석재의 탑으로 통일 신라시대 석탑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높습니다. 충주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교통의 요지였던 곳으로 삼국은 모두 이 지역을 전진기지로 중시해 왔습니다. 1916년도의 조사에 의하면 기단부의 일부가 파손되어 점차 기울어지고 있으며, 심할 경우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하여 다음 해에 이 석탑에 대한 전면적인 해체복원 공사가 진행되었는데 해체..

보은 법주사 팔상전(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유일한 고식 (古式) 목조탑으로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법주사 팔상전의 역사적 뿌리부터 건축물의 예술성까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보은 법주사 팔상전(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역사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인도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승려 의신이 처음 지었으며, 의신이 돌아오면서 백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서 이 절에 있었기 때문에 법주사라고 하게 됐습니다.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짓고 1968년에 해체..

예산 수덕사 대웅전(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Yesan) 역사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수덕사의 대웅전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 건물 가운데 건축시기가 명확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며, 한반도 목조건축물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1937년에 건물을 뜯어서 수리할 때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었습니다. 이에 의하면 이 건물이 1308년(충렬왕 34)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건립 연도가 확실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한반도 건축사 연구에 중심이 되는 기준 중 하나를 제공하며, 대웅전 건물 자체로서도 고려 목조건축의 형태적인 아름다움이 잘 보존된 점과 같은 가치를 ..

합천 해인사 (Haeinsa Temple, Hapcheon) 해인사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민국 합천의 아름다운 풍경 속에 자리 잡은 해인사는 정신적 평온과 문화적 풍요의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해인사의 성스러운 땅을 탐험하고 해인사의 역사적 뿌리, 건축학적 화려함, 그리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까지 소개될 예정입니다. 합천 해인사 (Haeinsa Temple, Hapcheon) 역사 우리나라 3대 사찰의 하나로 신라 애장왕 3년(802)에 순응, 이정 두 스님이 창건하였으며 삼국삼보사찰로 꼽히는 한국불교의 핵심을 대표하는 사찰입니다. "해인"이란 화엄경의 "해인삼매"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인사는 하엄사상을 천명하고자 이루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