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Yeongju) 역사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의 무량수전은 몇 안 남은 고려시대의 건축물로 고려시대 중기의 건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1376년에 진각국사(眞覺國師) 천희(千熙)가 중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런 전통 건물은 보통 짓고 나서 100~150년 후에 수리하기 때문에 건립시기는 이보다 약 100년 정도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 義湘 ) 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입니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합니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앉았다고 전해 내려옵니다.
전설에 따르면 사원건축은 근처 강에서 발견된 떠다니는 바위와 관련된 기적적인 사건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무량수전의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신라 문무왕때 짓고 고려 현종 때 고쳐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으나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장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 수리 공사를 하였습니다. 이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1962년 국보 제1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Yeongju) 건축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의 규모는 얖면 5칸, 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습니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 린 주심포 양식( 柱心包形式)입니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적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무량수전은 조선시대 건물과 비슷해 보이면서도 자세히 보면 다른 점이 눈에 띄는데 우선 창호의 배치가 다르다는 겁니다.
원래 고대 건축인 삼국시대 건물에는 창호가 없었습니다.
당시에는 종이(한지)는 매우 소량 생산되는 비싼 귀중품이었기 때문에 창에다 종이를 붙이기는 매우 사치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천이나 대나무 밭 등으로 막아 높은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야 창호란 단어와 함께 종이를 창문에 붙이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무량수전의 창호는 그 당시로서는 최신 유행을 따른 고급스러운 장치였을 것입니다.
이 때문에 창호의 살 형태도 가장 기초적인 정자살 (井字모양) 입니다.
조선시대가 된 후 16세기부터 한지가 대량생산되면서 일반 가정에도 창호가 보급되었고, 절의 창호에도 각종 장식이 붙었습니다.
무량수전의 기둥 사이 창호는 크게 3 부분으로 나뉘는데 좌우 양쪽의 창호는 창문으로 기능합니다.
그래서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열리고, 가운데 두 짝의 창호는 문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좌우로 열리는 여닫이 문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전부 여닫이인 동시에 창으로 들어 올리는 4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흔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또 한가지 무량수전은 원래 입식용 건축이었다는 것입니다.
현재 무량수전 실내에 있는 나무 바닥 아래에는 원래 녹색의 유약을 칠한 벽돌인 녹유전(綠釉塼)이 깔린 바닥이 있습니다.
즉 고려시대에는 중국의 건축물들처럼 실내에서 신발을 신고 지내는 입식생활이 일반적이었고, 무량수전 건축에도 반영됐다는 것입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온돌 등의 이유로 좌식생활이 일반화되고, 특히 절에서는 엎드려서 절을 하기 때문에 새로 나무 바닥을 깐 것입니다.
현재 부석사의 성보박물관(유물관)에 원래 무량수전 바닥에 깔려있던 녹유전을 재현해 놓았습니다.
녹유전은 유리같이 광택이 뛰어난데, 이는 불국토의 수미산 바닥이 유리로 되었다는 구절을 형상한 것입니다.
부석사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게 '누하진입(樓下進入) '입니다.
이는 누각 아래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안양루 밑 계단을 올라가다 보면 천장(안양루 바닥)에 시야가 가려지면서 고개를 숙이거나 몸을 낮추며 들어가게 됩니다.
부처님의 전신이 모셔져 있는 탑이나 서방극락세계를 뜻하는 무량수전에 몸을 낮춰 겸손함을 저절로 보이게 되는 구조입니다.
무량수전 내부에는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법당과 불상은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지만 부석사 무량수전은 불단을 서쪽에 치우치게 두고 불상은 동쪽을 바라보게 배치해두었습니다.
무량수전은 '무한생명의 전당'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홀의 디자인은 조선왕조의 전통 건축 양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홀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는 나무 표면을 장식하는 정교한 단청, 즉 한국 전통 장식 채색입니다. 빨강, 파랑, 초록 금색의 생동감 넘치는 색상은 시각적인 향연을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부석사의 건축학적인 화려함은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습니다.